느낌
-
게으른 자의 변명느낌 2023. 2. 15. 07:27
책 한 권을 계속 집중해서 읽으면 더 빨리 읽을 텐데, 그러질 못한다. 메뚜기처럼 이 책 저 책 옮겨 다니고 있다. 지금 침대에도 책을 두 권이나 들고 왔다. 이렇게 찔끔찔끔 읽어서 그런지 두 권 모두 벌써 다 읽었어야 할 책인데 아직도 씨름 중이다. 그런데 책을 왜 읽는가 생각하면 얘기가 또 달라진다. 무슨 시험공부 하는 것이 아니니, 마음 상태에 따라 와 닿는 것 읽을 수밖에. 효율적으로 빨리 끝내는 것이 언제나 우선순위 1번이어야 하는 것도 아니지 않나. 게으른 자의 변명일까?
-
어떤 간사함 #3느낌 2023. 2. 14. 07:22
침대 위에서는 볼펜으로 글 쓰는 게 마음이 편하다. 괜히 만년필 같은 거 들고 설치다가 이불에 얼룩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. 잉크색이 진짜 검정이라고 보기 어렵다. 잉크 똥이 너무 많다. 누르지 않고 미끄러지듯 쓰려면 색이 너무 흐려진다. 필기감이 별로다. 등등 평소에는 이렇게 천대하다가 또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챙기고, 내가 참 간사하다. 여행 갈 때 필기구 하나만 챙겨야 한다면, 당연하게 볼펜 한 자루 챙기면서 자꾸만 잊어버린다. 어쩌면 너무 쉽게 구할 수 있어 그런 것일지도. 지금도 책상 위에 판촉물로 받은 볼펜이 여러 자루 있다. 볼펜도 좋은 거는 안 그렇다는 항변이 들리는 것 같기도 하고.
-
어떤 선견지명느낌 2023. 2. 9. 07:18
노트를 꺼내고 아무리 가방을 뒤져봐도 필통이 없다. 아무래도 집에 두고 온 것만 같았다. 명필이 아니기에 펜을 많이 따진다. 게다가 만년필로 글씨 연습도 해야 하는데. 그보다 당장 메모해두지 않으면 우연히 떠오른 아이디어가 금방 날아갈 것만 같았다. 그때 가방 안쪽 연필 꽂는 곳에서 볼펜 한 자루를 발견했다. 어제 혹시 모르니까 거기에다 볼펜 하나 정도는 꽂아두자는 생각이 들어 그렇게 했던 기억이 났다. 어찌 미리 알고서. 이것도 일종의 선견지명일까? 아니면 머릿속 깊은 곳에서 그 볼펜의 존재를 알고서는, 가방 무겁다고 나도 모르게 필통을 못 챙기게 한 것일지도.
-
가끔 수학책을 들고 다니는 이유느낌 2023. 2. 8. 07:25
가끔 교양 수학책을 읽으려 한다. 오늘도 한 권 들고나왔다. 지금 이 책을 데리고 나온 이유는 얇고 가벼운 책 중에 제일 먼저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. 머리가 좀 복잡할 때 읽으려 하기도 한다. 고등학교 때 지리 선생님이 자기는 아직도 정석 푼다고 했다, 머리 아플 때. 적어도 거기에는 정답이 있다시며. 그래서 나한테도 효과가 좀 있을까 해서. 솔직히 지금 이 책에는 또 다른 이유가 하나 있다. 교양 수학책 하나 추천해 달라는 친구에게 이 책을 이야기했기 때문이기도 하다. 물론 나도 아직 다 못 읽었다는 얘기도 덧붙였다. 그래도 읽지도 않을 책을 추천했다는 얘기도 듣고 싶지도 않고, 그런 생각도 하기 싫다. 또 친구만 다 읽는 그런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 싫기도 하고.